청와대. 총리실

문 대통령 "혁신으로 제조업 강국으로 재도약할 때"

문성 2018. 12. 13. 15:30

문재인 대통령(사진. 청와대)은 13혁신성장과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제조혁신은 더는 미룰 수도 피할 수도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반 경남 창원시 경남도청에서 열린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에 참석, 연설을 통해 제조혁신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제조업 강국으로 재도약할 때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제조혁신의 관건과 주체는 중소기업으로, 대기업은 이미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이 많이 도입돼 이제 중소기업으로 확산시킬 때라며 제조업 생산액과 부가가치의 절반인 중소기업이 살아야 대기업이 함께 살고, 국가 경제가 살아난다. 함께 잘 사는 포용적 성장과 혁신적 포용 국가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오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을 3만개 구축하고 스마트 산업단지를 10곳에 조성하기로 했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제조 과정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돼 자동제어가 가능한 생산 시스템이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는 이자리에서 구체적인 전략을 발표했다.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브리핑에서 "그동안 중소기업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다소 소홀했는데 이제 대대적으로 정부 명운을 걸고 (스마트화) 사업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비전

 

스마트 제조혁신으로 중소기업 제조강국 실현

* 일자리 6.6만개 창출, 제조업 매출 18조원 확대

     

목표

(22)

중소기업 스마트 공장 보급 : 3만개 구축

스마트 산업단지 : 10개 조성

안전한 제조 일자리 : 산업재해 30% 감소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 10만명 양성

 

우선 노동시간 단축을 시행 중인 기업과 '뿌리 산업' 등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생산성 향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는 전략 업종부터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산업은행 1조원, 기업은행과 중소기업진흥공단 5천억원 등 모두 2조원을 스마트공장 설비 투자자금으로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구축·공급기업을 위해 3천억원의 전용 펀드도 만들기로 했다. 지역주도형 지원 모델을 신설해 지방자치단체 참여도 확대한다. 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매칭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형태다.

정부는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하는 대기업에 대해 '동반성장지수' 평가 시 우대하는 등 인센티브를 늘리기로 했다.

또 대기업에서 퇴직한 스마트공장 기술 전문가 100명을 내년에 '스마트 마이스터'로 초빙해 중소기업에 파견할 계획이다. 이들은 중소기업에서 스마트공장 구축과 관련한 컨설팅을 하고, 기술지원·사후관리·노하우 등을 전수하게 된다.

스마트공장을 공급하는 기업도 육성에 나선다. 내년에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이 가능한 빅데이터 센터와 플랫폼을 구축하고, 중기부 연구·개발(R&D) 예산 11천억원의 20%를 공급기업에 지원하기로 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 공급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쇼룸도 만들기로 했다.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운영인력 5만명을 양성하겠다는 기존 목표도 10만명으로 높였다.

경남과 경북도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 확산 계획을 세우고, 일부 다른 지자체들도 관련 예산을 편성하는 등 지자체의 참여도 늘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일자리 66천개를 창출, 18조원의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당 일자리가 2.2개 증가하고 1인당 평균 매출을 28천만원으로 계산한 셈법이다.

아울러 '공장 혁신'을 통해 산업재해 감소와 근로시간 단축, 유연근무제 확산 등 '일터혁신'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또 산업단지를 스마트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육성, 데이터를 연결·공유해 신산업을 창출하는 등 '스마트 산단' 프로젝트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