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강릉 오죽헌과 구례 화엄사‧ 장성 백양사(사진. 문화재청)‧ 순천 선암사 등 한국 4대 지역 매화 개회 시기를 2월 말~3월 초 만개할 것이라고 23일 전망했다.
매화는 매난국죽 중 맨 앞자리를 차지할 만큼 조선 시대 선비들이 가까이한 꽃으로 시‧서‧화 등에도 빠짐없이 등장해왔다. 2007년 문화재청은 오랜 세월 우리 생활‧문화와 함께해온 매화 4곳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한 바 있다.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이들 4곳에서는 오는 2월말부터 3월 초까지 매화의 꽃망울과 만개한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4대 매화 지역은 강릉 오죽헌 율곡매(천연기념물 제484호), 구례 화엄사 매화(천연기념물 제485호), 장성 백양사 고불매(천연기념물 제486호), 순천 선암사 선암매(천연기념물 제488호)등이다.
조선 초기 건축된 강릉 오죽헌 내 자리하고 있는 율곡매는 신사임당과 율곡이 관련된 나무로 알려져 있다.
구례 화엄사 경내 작은 암자인 길상암 앞에 자리한 구례 화엄사 매화(사진. 화엄사)는 인위적으로 가꾸지 않은 자연 상태의 매화다.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장성 백양사 고불매는 부처님의 원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결성한 고불총림의 기품을 닮았다하여 고불매라 불리는 홍매화다.
고려 때 중건한 선암사 상량문에 와룡송과 매화관련 기록이 남아있어 매화와 깊은 인연이 있는 순천 선암사 선암매는 무우전과 팔상전 주변 20여 그루의 매화가 조화롭게 활짝 피며 사찰 지붕이 온통 꽃으로 덮이고, 매향으로 산사를 뒤덮는 곳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자연유산이 일상 속에서 치유와 휴식의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통해 체험‧향유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맞아 ‘무령왕의 해’ 기념행사 (0) | 2021.02.25 |
---|---|
베트남 하노이에 ‘꿈더하기도서관’ 개관 (0) | 2021.02.24 |
고종이 하사한 태극기...'데니 태극기' 특별 공개 (0) | 2021.02.23 |
24일부터 ‘궁궐에 내려온 보름달’ 행사 (0) | 2021.02.19 |
국립중앙박물관, 새 단장한 '분청사기․ 백자실' 18일 공개 (0)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