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덕닷컴 - '생각의 리더'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이현덕닷컴 - '생각의 리더'

메뉴 리스트

  • 메인 화면으로 돌아가기
  • 글쓰기
  • 태그
  • 분류 전체보기 (5299)
    • [특별기획] 대통령과 정보통신부 (384)
    • [특별기획] 생각의 리더 (142)
    • 미디어. 게시판 (243)
    • 이현덕 칼럼 (101)
    • 붓다 소식 (119)
    • 사람들 (104)
    • 이현덕의 책마당 (90)
    • 전직 대통령 이야기 (63)
    • 사찰기행 (32)
    • 여행. 맛집. 일상 (94)
    • 암자일기 (68)
    • 문화. 관광.게임 (461)
    • 과기정통. ICT. 국방 (835)
    • 방송통신 . 개인정보위 (102)
    • 기재 . 금융 .블록체인 (74)
    • 중기.스타트업 (100)
    • 청와대. 총리실 (143)
    • 행정. 전자정부. 지방 (194)
    • 산업. 국토. 특허 (109)
    • 농림. 산림. 해양 (96)
    • 전원일기 (50)
    • 베트남 (19)
    • 기업 (1219)
    • 연구실 최전선 (30)

검색 레이어

이현덕닷컴 - '생각의 리더'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연구실 최전선

  • 조은해 교수 연구팀, 고용량 차세대 배터리 수명 향상 소재 개발

    2021.03.03 by 문성

  • ETRI, LED 이용해 다양한 진동 구현기술 개발

    2021.03.03 by 문성

  • 무선 충전 가능한 부드러운 뇌 이식 장치 개발

    2021.01.26 by 문성

  • KAIST 남택진 교수 연구팀, 세계 최초 ‘이동형 음압병동’ 개발​

    2021.01.07 by 문성

  • 1월 과학기술인상, 한국과학기술원 김범준 교수 선정

    2021.01.06 by 문성

  • KAIST 정원석 교수, ‘성인의 뇌가 기억을 유지하는 방식’ 규명

    2021.01.05 by 문성

  • 기존 렌즈보다 10,000배 얇은 초박막렌즈 개발

    2021.01.02 by 문성

  • ETRI, 서버 침입경로 혼란시켜 해킹 막는다

    2020.12.24 by 문성

조은해 교수 연구팀, 고용량 차세대 배터리 수명 향상 소재 개발

​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신소재공학과 조은애 교수 연구팀(사진. 왼쪽. KAIST)이 현재 사용하는 배터리 양극재와 비교해 20% 이상 에너지 밀도가 높고 안정성은 유지하는 고용량 리튬 과잉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조은애 교수 연구팀은 비가역적 산소 반응이 주로 발생하는 양극재 표면에 선택적으로 바나듐(V) 이온을 도핑하는 기술을 개발해 리튬 과잉 양극 소재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리튬 과잉 양극 소재가 첫 충·방전에서 69%의 낮은 가역성을 갖지만, 바나듐을 도핑한 리튬 과잉 양극 소재는 첫 충·방전 시 81%에 달하는 높은 가역성을 나타냈고, 100 사이클의 충·방전 이후에도 92%에 달하는 안정성을 확인했다. 조 교수는 "도핑된 바나듐 이온이 양극 소재 내 산소 이온의..

연구실 최전선 2021. 3. 3. 19:55

ETRI, LED 이용해 다양한 진동 구현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3일, LED로 다양한 진동을 구현하는 기술(사진.ETRI)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지난달 10일, 미국 화학회(ACS) 주요 학술지 표지 논문으로 게재해 기술력을 널리 인정받았다. 햅틱(Haptic) 기술은 촉각으로 사용자와 교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ETRI가 만든 기술은 손가락의 위치에 따라 모두 다른 진동이 느껴지도록 만들어 준다. 연구진은 본 기술을 활용하여 1㎠ 단위로 9개의 구역을 가진 3 x 3 형태의 LED 배열을 만들어 각각의 구역에서 넓은 주파수 대역의 정밀한 진동 표현이 가능함을 기술적으로 증명해냈다. ETRI 신형철 휴먼증강연구실장은“많은 정보를 촉감으로 전달할 수 있는 원천 기술로 실용화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인 등 정보 취약계층 ..

연구실 최전선 2021. 3. 3. 19:51

무선 충전 가능한 부드러운 뇌 이식 장치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이 대학 전기및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 연구팀이 연세대 의대 김정훈 교수팀(사진. KAIST)과 공동 연구를 통해 뇌 완전 이식형 무선 광유전학 기기를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이 기술은 장기간에 걸친 동물 실험이 필요한 뇌 기능 연구뿐 아니라 향후 인체에 적용해 중독과 같은 정신질환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치료에도 적용할 것으로 기대한다.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1월 22일자에 게재했다.광유전학은 빛을 이용해 목표로 하는 특정 신경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뇌 기능을 밝히고 각종 뇌 질환을 치료할 해결책으로 뇌과학 및 신경과학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배터리의 ..

연구실 최전선 2021. 1. 26. 20:27

KAIST 남택진 교수 연구팀, 세계 최초 ‘이동형 음압병동’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7일 이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남택진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 대응 과학기술 뉴딜사업단의 한국형 방역패키지 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 7월부터 연구해온 '이동형 음압병동(MCM)'(사진. KAIST)을 개발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MCM은 고급 의료 설비를 갖춘 음압 격리 시설로 신속하게 변형하거나 개조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진단검사 · 영상의학 · 의료물품 공급 · 의무기록 관리와 환자 식사 제공 등 기존 병원의 인프라와 함께 활용해야 한다. 연구팀은 작년 12월 28일부터 서울 노원구에 있는 한국원자력의학원에 4개의 중환자 병상을 갖춘 병동을 설치한 후, 의료진과 일반인으로 구성한 모의 환자그룹을 대상으로 의료 활동과 환자 일상 등 치료 전 과정을..

연구실 최전선 2021. 1. 7. 16:55

1월 과학기술인상, 한국과학기술원 김범준 교수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범준 교수(사진. 과기정통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 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하여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 원을 수여한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김범준 교수가 간단한 공정으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블록 공중합체* 탄화입자와 고성능 연료전지 개발을 통해 수소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높게 평가했다고 밝혔다. 김범준 교수는 고기능 분리막을 이용한 멤브레인 에멀전* 방법으로 높은 내구성의 탄화입자를 대량 생산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등의 고성능 에너지 소자를 성공적으로 만들어 냈다. 연구팀이..

연구실 최전선 2021. 1. 6. 14:04

KAIST 정원석 교수, ‘성인의 뇌가 기억을 유지하는 방식’ 규명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이 지원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정원석(사진. 삼성전자) 교수 연구팀이 한국뇌연구원 박형주 박사팀과 공동으로 ‘성인의 뇌가 기억을 유지하는 방식’을 밝혔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해 뇌·인지과학 연구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했다고 인정받아 지난해 12월 23일(영국 현지시간) 최상위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공개했다. 신경세포인 뉴런과 뉴런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는 뇌 안에서 정보를 학습하고 기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기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시냅스는 사라지고 새로운 시냅스를 생성한다. 그러나 어떻게 기존의 시냅스가 사라지고, 이렇게 사라지는 현상이 뇌의 기억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연구실 최전선 2021. 1. 5. 14:59

기존 렌즈보다 10,000배 얇은 초박막렌즈 개발

국내 연구진이 기존 굴절렌즈보다 10,000배 얇은 초박막렌즈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사진.과기정통부) 연구팀이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 연구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이미징 디바이스랩 한승훈 마스터 팀과 함께, 기존 굴절렌즈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두께는 10,000배 얇은(머리카락보다 100배 얇은 수준) 적외선 초박막렌즈 및 이의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ACS Nano(IF=14.588)가 2021년 1월 1일 온라인으로 발표했다. 빛을 모으는 렌즈는 스마트폰, DSLR 카메라 등 최신 전자기기 및 광학기기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부품이다. 연구진은 메타물질 구현에 적합한 광특성을 가짐과..

연구실 최전선 2021. 1. 2. 18:41

ETRI, 서버 침입경로 혼란시켜 해킹 막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버의 IP 주소 등을 지속적으로 바꾸어 사이버 공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네트워크 변이 기술’(사진.ETRI)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기술은 해커가 공격대상을 선정하고 준비를 하는 동안 네트워크 주소를 계속 바꾸어가며 혼란을 가중해 공격할 시간을 놓치게 하는 원리다. ETRI는 이 기술이 세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기술로 네트워크를 혼란시켜 주소를 변경하는 연구 중 최초의 상용수준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기술 핵심으로 ▲물리네트워크와 가상네트워크 연동 기술 ▲네트워크 터널링 기술 ▲로컬 NAT기술 등이라고 밝혔다. 이런 기술을 기반으로 주소를 만들기도 하고 변경도 한다. 실제로 주소가 실시간으로 변경되지만, 사용자들은 이를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매끄럽고 지..

연구실 최전선 2020. 12. 24. 09:5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이현덕닷컴 - '생각의 리더'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