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치매 치료제 개발 가능성 발견... 서울대 묵인희 교수팀, 뇌 면역세포 기능 상실 원인

과기정통. ICT. 국방

by 문성 2019. 6. 28. 10:26

본문

 

 

나이들면서 치매(알츠하이머병)에 걸리는 노인이 늘어나고 있다. 내 주위에도 치매로 고생하다 돌아간 분이 있다.

 

러나 아직 이 병을 고치는 근본적인 치료제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서울대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가능성을 발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 묵인희 교수(사진), 백성훈 박사, 강석조 박사 연구팀이 뇌 면역 세포인 미세아교세포가 알츠하이머병에서 기능을 상실하는 원인(사진. 과기정통부)을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셀의 자매지인 셀 메타볼리즘에 이날 게재했다.

 

서울대 연구팀은 정상적인 상황에서 미세아교세포가 베타 아밀로이드에 노출되면 에너지 생성 속도를 높여 이를 잡아먹은 뒤 분해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에너지 생성 과정의 구체적 메커니즘을 알아냈다. 또 만성적으로 베타 아밀로이드에 노출된 뇌 조직에서 미세아교세포가 에너지 생산을 못 하는 대사 결손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했다.

 

연구팀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는 미세아교세포를 돕기 위해 대사촉진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감마인터페론을 유전자변형 치매 마우스에 주입했다. 그러자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청소하는 면역 기능이 다시 살아나고 인지능력이 회복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치료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다.

 

과기부는 이번 연구결과는 미세아교세포의 대사촉진을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묵인희 교수는 그동안 뇌 신경세포의 사멸을 막고 활성화하는 연구들이 임상시험에서는 실패해왔다면서 이번 연구는 신경세포가 아닌 뇌 면역세포의 조절을 통한 뇌 환경의 정상화 가능성을 보여주므로 앞으로 알츠하이머 극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치매는 뇌에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정상적인 사람이 치매에 걸리지 않는 이유는 베타 아밀로이드를 쓰레기 치우듯 없애는 미세아교세포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뇌 속의 청소부로 불리는 미세아교세포의 기능은 그동안 잘 알려져 있었으나 면역기능이 어떻게 활성화되는지는 미지의 영역이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