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천리안위성 2B호가 관측한 한반도 해양 모습 최초 공개

과기정통. ICT. 국방

by 문성 2020. 5. 11. 20:29

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는 정지궤도복합위성 2B(3.4톤급, 이하 천리안위성 2B’)’가 촬영한 지구 해양관측 영상(사진. 과기정통부)을 11일 최초로 공개했다.

천리안2B호는 늘 한반도 상공에 머무르며 한반도 주변 바다와 대기 환경을 관측하는 정지궤도 위성이다. 위성에는 녹조·적조 등을 관측하는 해양환경탑재체와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환경관측탑재체가 실렸다.

천리안위성 2B호는 지난 219일에 발사에 성공하고, 36일에 목표 정지궤도에 안착했다. 최근까지 위성 본체와 탑재체에 대한 상태점검을 수행하여 모두 정상임을 확인했다. 천리안위성 2B호 해양탑재체의 성능 테스트는 323일과 421~22일 두 차례 시행됐다.

천리안위성 2B호는 기존 천리안위성 1호보다 공간해상도가 4배 개선돼 보다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기존에는 구별하기 어려웠던 항만과 연안 시설물 현황, 연안 해역의 수질 변동 등에 대한 다양한 해양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천리안위성 1호 관측 영상과 비교해보면 2B호의 성능 향상을 보다 쉽게 느낄 수 있다. 인천 인근 해역을 확대한 영상을 보면 서해안 갯벌 지대와 수질 특성이 보다 명확하게 촬영된 것을 볼 수 있고, 1호 위성에서는 식별이 어려웠던 인천대교의 모습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또한, 새만금에서는 금강 등 여러 하천이 선명히 촬영되어 하천 담수가 해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정밀한 정보 획득이 가능해 졌다.

2B호에서는 더욱 다양하고 정확한 해양관측을 위해 관측밴드가 4개 추가했다. 관측밴드란 자외선부터, 가시광선, 근적외선 대역에 빛의 파장대로 해양관측에 특성화된 칼라대역을 말한다. 380nm 밴드영상은 해양오염물질의 확산과 대기 에어로졸 특성, 510nm620nm 밴드영상은해양의 엽록소와 부유물질 농도, 709nm 밴드영상은 해양정보와육지의 식생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다.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탑재체는 올해 10월 국가해양위성센터를 통해 정상 서비스 개시하기 전까지 최적화를 위한 세밀한 조정 및 보정 과정을 수행할 계획이다. 목표했던 성능은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환경탑재체도 초분광 정보를 활용한 관측영상 산출을 준비하고 있으며, 당초 일정에 맞춰 정상 추진 중이다.

환경탑재체는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에서 운영되는 초분광기로 이미 한 차례 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해양탑재체에 비해 시험 및 검증에 시간이 오래 필요하다.

환경부는 초분광 관측자료 보정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5월에 완료하고 관측자료 생산 시험검증을 6월부터 수행하여, 10월경 대기환경 관측 첫 영상을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에서는 학교 온라인 개학을 고려하여, 천리안위성 2B호에 대한 온라인 교육자료를 개발하여에듀넷(www.edunet.net) 및 대학공개강의(www.kocw.net)과 항공우주연구원 홈페이지(www.kari.re.kr)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