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사진.카카오톡 )이 음성 통화시장을 뒤흔들 이른바 '공짜 전화서비스'라는 필살기를 내놨다.
카카오톡이 4일부터 공짜 전화서비스를 국내에서 기습적으로 시작했다.
이에 대한 반응은 극과 극이다. 소비자들은 대환영이다. 가득이나 비싼 통신요금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이통통신사들은 비상이다. 카카오톡의 문자서비스로 인해 수익이 감소한데다 음성전화까지 카카오톡이 무로 서비스를 할 경우 수익이 감소하는 까닭이다.
카카오톡은 가입자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4,600만명, 국내 3,500만명에 달하지만 경영은 적자를 면하지 못했다. 카카오톡 입자에선 다양한 서비스로 수익모델 개발이 시급한 형편이다.
이런 마당에 카카오톡 4일 애플의 아이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음성통화 서비스인 '보이스톡'의 시범서비스 이용자를 모집한다고 공지했고 5일부터는 안드로이드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테스트를 시작한 것이다.
신청자들은 별도의 응용소프트웨어(앱)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카톡 내 설정 메뉴에서 '보이스톡 날개 우선적용 신청'을 누르면 된다. 기존 대화방 상단에 위치한 번개모양 로고에 날개가 달린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새로 생성된 보이스톡 요청 메뉴를 선택하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음성통화 서비스는 외국에서는 이미 하고 있지만 한국만 제외했다.
이번 서비스의 시작에 대해 이석우 카카오 대표는 "국내 이용자들이 형평성 문제를 제기해 비판 여론이 확산되고 있고, 이용자들이 이미 인터넷을 통해 보이스톡 편법 이용 방법을 공유하고 있어 당초 보다 앞당겨 시범 이용자 모집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기존 이통사들은 이런 서비스에 반발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이날 "무료 음성통화서비스(mVoIP)는 이통사 음성통화를 대체하는 것으로, 이의 확산은 산업 발전, 이용자편익, 국익 등을 저해한다"며 "관련 정책과 제도가 정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당장 정부 차원에서 이를 막는 조치가 어렵다면 요금인상 등 시장차원의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도 모바일 메신저 사업자의 영역 구분 등과 관련해 정책 재검토에 들어갔다. 방통위 관계자는 "모바일 메신저의 사업분야가 기간통신 부문 사업자와 유사하다는 데 검토의 초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잎으로 이 문제는 논쟁이 불가피하다. 기존 이동통신사는 카카오톡의 서비스를 못하게 막으려 할 것이다. 안그래도 기존 통신사들은 문자서비스 수익이 기존에 비해 절반 가량 줄었다. 대략 문자 서비스 수익이 1초 5천억원 정도였으나 6천억에서 7천억까지 수익이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톡은 무료인데다 문자수 제한이 없어 이용자들이 늘 수 밖에 없다.
카카오톡의 서비스 제공 언어는 한글을 비롯 영어, 일본 등 12개국 언어다. 카카오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7월 일본 법인을 설립했다. 카카오톡은 200여명으로 늘렸다.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서다.
서비자들은 좋은데 이동통신사업자들은 수익이 주는 이 문제. 과연 어떤 결론이 날지 관심이다.
IT미래비전 포럼 " ICT전담부서 신설해야" (0) | 2012.06.16 |
---|---|
LG유플러스의 반란" 인터넷 전화 허용" (0) | 2012.06.07 |
카카오톡 무료전화 가능할까 (0) | 2012.06.01 |
제4이통 사업허가 기준 강화 (0) | 2012.05.30 |
인터넷 30년과 전길남 박사 (0) | 201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