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치매극복 연구개발 사업단' 출범...단장 묵인희 서울대 교수

과기정통. ICT. 국방

by 문성 2020. 8. 2. 17:00

본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는 국가 치매연구개발 중장기 추진전략에 따라 치매 예방·진단·치료 등에 걸친 종합적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 위해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을 출범한다고 2일 밝혔다. 단장은 공모를 통해 서울대 묵인희 교수(사진)를 선정했.

사업단은 치매 원인규명 및 발병기전 연구(451억원) 치매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508억원) 치매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609억원) 3개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치매 극복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치매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본적인 원인과 발병기전이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병원인 및 기전 규명, 치매오믹스 분석 등 4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의 연구를 지원한다.

치매 발병 초기에 진단하기 위해 혈액, 체액기반 치매 조기진단기술,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등 8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새로운 치매 발병 가설에 기반한 신규 치료제 개발이나, 치매 위험인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예방기술 개발 등 치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치매 치료제 개발, 뇌내 약물전달 기술개발 등 3개 중점 세부기술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세부 분야별 연구과제는 예비타당성 조사 시 기획한 연구계획을 바탕으로 사업단에서 현재 글로벌 동향 등을 반영해 세부기획안을 마련한 뒤 8~9월 중 국내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선정할 예정이다.

중점분야

(억원)

중점기술개발

(억원)

지원예정 과제수

지원내용

1. 원인 규명 및 발병 기전 연구

 

(451 이내)

1-1. 치매 발병원인 및 발병기전 규명 (330억 이내)

36

다양한 치매유형 분석, 치매의 발병기전에 대한 규명 및 고도화 연구

1-2. 치매오믹스 분석 연구 (72억 이내)

1

유전체 분석 활용한 치매 고위험요인 발굴

1-3. 치매 위험요인 탐색 및 기전규명 (24 이내)

4

치매 고위험군의 특성(연령, 성별, 유질환 등) 분석을 통한 인과관계 규명

1-4. 신경보호인자 탐색 및 인지예비능 규명 (25 이내)

4

인지예비능과 환경의 영향 분석, 치매 보호인자 탐색 연구

2. 예측 및 진단기술 개발

 

(508억 이내)

2-1. 혈액, 체액기반 치매조기진단기술 (156 이내)

10

침습성이 낮은 혈액·체액을 활용, 간편하고 저렴하며 정확도가 높은 치매 진단기술 개발

2-2. 치매 특이적 영상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개(58 이내)

4

민감도와 특이도가 향상된 영상
진단기술 개발

2-3. 영상진단기술 고도화 (58 이내)

4

뇌영상 검사기술을 개발·검증하여 치매유형, 진행상태별 진단기술 고도화

2-4. 생체신호, 감각기능 기반 치매진단기술 (18 이내)

2

다중 생체신호(뇌파, 맥파, 체온, 심전도 등) 분석기반 치매 조기진단 기술개발

2-5. 한국형 선별검사도구 표준화 (13.5이내)

2

한국형 치매 선별검사 표준 지침서의 개발 및 고도화

2-6. 뇌척수액 검사 기술표준화(19.5 이내)

2

뇌척수액 채취 용이성 향상기술 개발 및 뇌척수액 내 치매 진단지표 발굴 연구

2-7. 기초·임상연구 레지스트리 (TRR) 구축 (162 이내)

1

치매 연구성과의 빠른 검증, 실용화를 위한 임상연구플랫폼 구축

2-8. 치매연구정보 통합·연계시스템 (DPK) 구축 (23 이내)

1

치매 연구자 친화적이고 개방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

3.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

 

(609억 이내)

3-1. 치매치료제 개발 (510억 이내)

28

다양한 타겟 활용 및 신약 재창출을 통한 근원적 치매치료제 개발

3-2. 뇌 내 약물전달기술 개발 (87억 이내)

4

치매치료제의 뇌투과율 향상을 위한 약물전달기술 및 의료기기 개발

3-3. 한국형 치매예방법 표준화 및 고도화 (12억 이내)

2

한국형 치매 예방·관리 프로그램 개발·확산 및 이와 접목 가능한 신기술을 개발하여 예방·관리 프로그램 고도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