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6월 1일.
노태우 대통령(사진)은 청와대 기구인 전산망위원회를 체신부로 이관했다.
하지만 그 과정에 전산망위원회 이관을 놓고 총무처와 상공부, 체신부, 과기처 등 관련부처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졌고 체신부로 가기로 했던 전산망위가 과기처로 갈뻔한 사태가 발생했다. 노 대통령이 같은 사안에 대해 두 번 재가하는 초유의 일이 일어났다.
부처 간 협의를 진행했던 신윤식 체신부 차관(데이콤사장. 하나로통신회장 역임. 현 정보환경연구원 이사장)의 증언.
“체신부로 이관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느닷없이 과기처로 방침이 변경됐어요. 친분이 두텁던 문희갑 당시 대통령경제수석(대구광역시장 역임)과 이 일로 언성을 높인 적이 있습니다. 그해 4월 하순에 관련부처 차관회의에서 체신부로 이관키로 합의했지만 부처간 유치경쟁이 대단했습니다.”
전산망위원회가 체신부로 이관함에 따라 대통령비서실장이 맡고 있던 위원장도 체신부장관이 맡게 됐다.
실무위원장 겸 사무국장인 정홍식 비서관도 청와대 생활 10년을 청산하고 그해 6월 5일 체신부로 발령이 났다. 전산망위 실무위원은 관련부처 과장급들로 구성했다. 체신부에서는 김창곤 정보통신과장(정통부차관 역임. 현 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장)과 주현정 전산망과장(부산체신청장. LGT감사 역임)이 참여했고 실무위원회 간사는 이성옥 전산망조정위사무국 총괄지원담당관이 맡았다.
노태우 대통령은 그해 7월8일 개각을 단행, 체신부장관에 이우재 전 한국전기통신공사 사장(현 KT동우회 고문)을 임명했다. 최영철 체신부장관은 노동부장관으로 옮겼다.
전산망위는 그해 8월 종합대책 시안을 작성해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한 11개 전문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시안을 작성했다. 11개 전문위원회는 총괄분과와 정보사회전망분과, 전산망분과, 뉴미디어분과, 표준화분과, 인력분과, 법제도분과, 정보문화분과, 지역정보화, 정보산업분과, 통신사업분과 등인데 그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했다.
그해 9월1일 하오 노태우 대통령은 서울국제우체국에서 열린 제6회 체신봉사상 수상자들을 위한 다과회에 참석, 격려사를 통해 “국가전산화 사업과 초등학교 컴퓨터보급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하라”고 거듭 지시했다.
노대통령은 그해 11월9일 이우재체신부장관으로부터 종합대책 중간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 정부관계부처와 산,학계가 힘을 모아 정보사회종합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의 연이은 독촉에 전산망위 사무국은 비상이 걸렸다.
밤낮없이 시안 마련에 박차를 가해 전문가회의와 부처간 협의를 진행했다.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63> (0) | 2012.01.02 |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62> (0) | 2011.12.27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60> (0) | 2011.12.15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59> (0) | 2011.12.12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58> (0) | 2011.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