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여 공석중이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원장에 백기승 전 청와대 비서관이 임명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오는 11일 제4대 KISA 원장에 백기승 전 비서관을 선임할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백기승 신임 원장의 임기는 2017년 9월10일까지다.
백 전 비서관은 대우그룹 최연소 홍보임원을 지냈으며 지난 2007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대선 경선을 앞두고 당시 박근혜 후보의 공보기획단장으로 일하며 연을 맺었다. 이후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청와대 대통령 국민소통비서관과 뉴미디어비서관 등을 역임한 뒤 지난 5월 사임했다.
KISA원장 자리는 지난 3월 말 이기주 원장이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으로 자리를 옮긴 뒤 장기간 공백사태가 이어졌다. 그간 최재유 미래부 실장 등 여러 사람들이 원장 후보에 이름이 오르내렸으나 관피아 논란 등으로 인해 정부 측 인사는 KISA 원장 자리로 가지 못했다.
그러나 백 청와대 전 비서관이 KISA원장에 임명되자 야당은 '청피아 '인사라고 비난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최민희 의원은 5일 논평을 내고 “박근혜 대통령은 ‘관피아 척결’을 공언했는데, 불과 몇 개월도 지나지 않아 ‘청와대발 관피아’ 소위 ‘청피아’ 인사가 버젓이 자행됐다”고 비난했다.
최 의원은 그“백기승 전 비서관은 IT나 정보보호 분야의 문외한으로 이분야의 경력이 전무한 사람”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성도 업무의 연속성도 결여된 청와대 출신 인사를 단지 대통령의 선거를 도왔다는 이유만으로 낙하산 원장으로 임명한다면 이는 대통령이 국민을 향해 선언한 ‘관피아 척결’이 가식이고 쇼였다고 인정할 수밖에 없다”고 맹비난했다
KISA는 2009년 한국정보보호진흥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통신국제협력진흥원이 통합됐으며 1대 김희정 원장과 2대 서종렬 원장이 모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났다. 3대 이기주 원장 역시 임기 중에 방통위 상임위원으로 임명되면서 그동안 공석이었다.
백기승 전 비서관은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 정치외교학를 졸업했으며, 대우그룹 기획조정실 이사, 대통령비서실 국정홍보비서관 등을 지냈다.
야당의 주장대로 백 전 비서관은 IT나 특히 정보보안 분야와는 무과한 인사라는 점과 이를 의식한듯 미래부가 추석전날인 5일, 그것도 업무 종료 20분전에 발표했다는 점에서 청와대 낙하산 인사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본다.
KFT, 10월 중순 4이통 신청서 제출 (0) | 2014.09.25 |
---|---|
자유총연맹 25일 4이통출범 기자회견 (0) | 2014.09.24 |
칩으로 차량 추돌사고 막는다 (0) | 2014.08.26 |
클린콘덴츠 UCC 공모전 (0) | 2014.08.26 |
삼성전자, 미국 사물인터넷 업체 인수 (0) | 2014.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