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소프트웨어와 사이버 안전에 대한 대대적인 진단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이석준 미래부 제1차관(사진)은 28일 오전 미래부 기자실에서 이같은 2015년 업무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에 따르면, 미래부는 교통·전력·의료 등 국민안전과 직결된 주요시설을 통제·관리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컨설팅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는 주요시설 20개를 대상으로 4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고, 2017년까지 200개 시설에 대한 안전진단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 금융권 등에서 잇따른 대형 사이버 보안 사고가 되풀이되는 걸 막기 위해 사전 예방 중심의 사이버 보안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올해 망사업자(ISP) 등 주요 기반시설과 포털, 웹하드 등 다중이용서비스 등 400개 민간 분야에 대한 사이버 안전 상시점검 및 보안 컨설팅을 실시할 계획이다. 점검항목은 지능형지속공격(ATP), 악성코드 유포, 홈페이지 취약점, 사용자 정보유출 등이다. 정부와 이동통신사, 포털,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등 주요 기업 관계자 등 약 2000명으로 구성되는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핫라인’을 구축하고, 정부·민간 합동 사이버보안 점검 및 모의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또 사이버 공격 및 침해사고 시 로그기록을 저장·보존하는 ‘사이버 블랙박스’를 개발해 빠르고 정확하게 사이버 침해사고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이버 위협 정보공유 기관을 현재 50개에서 10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이버 보안 전문인력인 화이트해커 양성 기관도 기존 8개 대학에서 11개 대학으로 확대한다.
미래부는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기술과 시장성을 검증할 수 있는 테스트 환경과 금융 제도·기술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간편 결제·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우체국 금융과의 사업제휴를 통해 이용자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靑 " 창조경제혁신센터 괄목한 성과 “ (0) | 2015.02.01 |
---|---|
미래부, lot실증단지 조성 (0) | 2015.01.29 |
'IoT 표준' 전문가 2인, 국제협의기구 의장단 진출 (0) | 2015.01.26 |
국회 "사물인터넷 규제, 성급한 법제화 안 된다” (0) | 2015.01.22 |
미래부 , SW영향평가제 6월 도입 (0) | 2015.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