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CDMA 방식의 1단계 공동개발이 시작됐다.
1991년 8월2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고에 있는 퀄컴사 회의실에서 이원웅 한국전자통신연구소 무선통신개발단장(인천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교수 역임)과 어윈 제이콥스 퀄컴 사장은 제1단계 CDMA방식의 공동개발 계약서에 서명한 뒤 악수를 나눠며 상호협력을 다짐했다.
이자리에 한국 측에서 이혁재 부장(현 KAIST 전기전자공학과 교수)과 김광호 사업개발실장(현 ETRI 책임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체신부가 8월23일 CDMA방식 기술도입을 승인하자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곧장 퀄컴사와 1단계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날 체결한 공동기술계약의 내용은 그해 5월 6일 맺은 기술협약서와 큰 틀에서 다를 게 없었다.
1단계 공동기술개발 내용은 5개월간 CDMA시스템 기술사항과 시스템 정의, 구조 설계 등을 공동으로 개발한다는 것이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1단계 기술료로 190만 달러를 퀄컴측에 보냈다.
그해 9월24일 CDMA기술을 배위기 위해 임명섭 박사(현 전북대학교 전자정보공학부교수 )를 팀장으로 하는 5명의 연구원이 미국 퀄컴사로 파견됐다.
임 박사의 회고.
“ 무선통신시스템 분야 4명, 교환기 분야 1명 등 5명이 퀄컴사로 갔습니다. 퀄컴사 인근에 아파트를 얻어 그곳에서 함께 생활했습니다.”
당시 함께 파견된 연구원은 권동승 (현 ETRI 무선시스템연구부장), 정종태(현 이노 와이오리스 회장), 이상철(현 미국거주), 이남준 씨 등이었다. 이들은 사무실을 배정받아 퀄컴측과 공동개발 및 시험평가 업무에 참여하면서 CDMA시스템 기술사항과 시스템 정의 등에 관한 기술을 배웠다. 이들은 샌디에고 해변이 골짜기 등을 돌며 시험에도 참여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소는 그해 10월 1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원웅 단장이 맡고 있던 무선통신개발단을 정보통신연구단으로 개편했다. 기존 디지털이동통신 시스템과 위성통신기술 개발업무외에 정보통신표준센터 업무가 추가된데 따른 조치였다. 이에 따라 개발단 소속이던 이동통신분야를 연구개발본부로 확대해 연구소장 직속부서로 만들었다. 본부장에는 TDX-10개발업무를 6년간 담당했던 이영규 부장(TTA 전문위원 역임)을 발령했다. 그는 TDX-10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 상용 부장을 역임했다.
이 본부장의 말.
“개발본부는 소장의 지시를 받는 직속부서였습니다. 비록 퀄컴과 1단계 공동개발을 체결했지만 여전히 CDMA방식의 개발 성공에 대한 확신이 없었습니다. 조직을 정비하고 구체적인 상황파악에 나섰습니다.”
체신부와 한국전자통신연구소가 CDMA방식의 기술개발에 나서자 국회가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1991년 10월18일.
이날 오후 2시 국회에서 열린 국회교통체신위원회에서 퀄컴사와 CDMA방식의 1단계 공동기술개발 계약이 논란의 초점이 됐다.
이교성 민주당의원(고양자치연구소 대표 역임)은 “체신부가 1996년까지 4백41억원을 들여 디지털이동통신시스템을 개발하겠다고 해놓고 이제와서 무슨 이유로 정책을 변경했는가. 미 퀄컴사의 CDMA방식을 1백23억원을 주고 도입키로 한 것이 특정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냐”며 체신부를 몰아세웠다.
조찬형 민주당 의원(현 변호사)도 “제2이동통신사업자로 선경이 내정됐다는데 사실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11> (0) | 2011.06.13 |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10> (0) | 2011.06.09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08> (0) | 2011.05.31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07> (0) | 2011.05.26 |
이현덕의 정보통신부 그시작과 끝<106> (0) | 201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