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BC 김재철 사장 "언제 물러날까?"

과기정통. ICT. 국방

by 문성 2012. 5. 24. 21:25

본문

110일 넘게 파업중인 MBC사태가 해결될까.  또 김재철 사장의 거취는 어떻게 될까.  

 

MBC 파업이 장기화하자 차관급인 김충식, 양문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의원이 5월 24일 오전 서울 광화문 방통위 13층에서 김재철 MBC 사장의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서(사진. 뉴시스)를 발표했다. 

 

 

공영방송 사장의 퇴진을 정치권도 아닌 정부 차관급 공직자가 성명서를 통해 촉구한 것은 극히 드문일로 그만큼 이번 파업사태가 급박하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경찰과 검찰에도 이 사건을 조사해 줄것을 아울러 촉구했다.  이들의 성명서가 MBC사태 해결에 전환점이 될지 주목한다.

 

 

이번 MBC 파업은 1월말 노조가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대통령 사저 사건 등에 대해 사측이 보도를 통제하고 있다며 김 사장의 퇴진을 요구하면서 촉발됐다. MBC 노조에 따르면 이미 파업과 관련해 서울에서만 31명을 징계했다. 징계인원은 김 사장 취임 이후 103명에 이른다.

 

김재철 사장은 고려대를 나와 1979년 공채 14기로 MBC에 입사한 이후 정치부 차장, 도쿄 특파원, 보도국 수도권 부장, 정책기획실 정책보좌역, 보도제작국장 등을 거쳐 울산MBC 사장과 청주MBC 사장을 역임하고 MBC 사장에 선임됐다. 김 사장은 이명박 대통령과도 정치부 기자 시절부터 친분을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의원은 "MBC 사장으로서 역할을 다하기에 도덕적, 윤리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며 "서둘러 사퇴하는 것 만이 자신과 MBC를 살리는 길"이라고 밝혔다.

 

두 의원은 "지금까지 드러난 공적, 사적인 행적은 시정잡배의 그것에도 못 미치는 파렴치한 범죄 수준이며 공익, 공공성을 생명으로 하는 공영방송의 수장이 한 일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라고 비난했다.

 

 

두 의원은 "김사장을 둘러싼 의혹은 어디가 시작이고 끝인지 모를 지경이다. 노조에 의해 제기된 20억원에 이르는 법인카드 유용 및 배임의혹, 여성 무용가 정모 씨에 대한 특혜지원 논란은 검찰의 수사를 기다리고 있다"며 "'무용가 정씨와 오송 신도시에 아파트 3채를 공동으로 구입해 전세를 내줬다'는 의혹까지 보도됐다"고 비판했다.

 

최근 보도된 의혹은 김 시장과 정씨가 같은 아파트 단지의 601·602동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 함께 다녔으며, 공동관리하는 방식으로 전세를 내줬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 두 의원은 두 사람의 관계가 특별한 관계임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김 사장이 실소유자가 아니라면 정씨를 위해 다주택자 중과세를 피하게 할 목적으로 이름을 빌려 준 것이 돼 부동산실명제법 위반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두 의원은 김 사장에 대한 자진사퇴 촉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선다는 방침이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MBC 김재철 사장은 당장 자진사퇴하라!

 

김재철 사장은 이제 스스로 물러나야 한다. 공영방송을 이끄는 사장으로서 도덕성 윤리성 측면에서, 더 이상 리더로서 머무를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지금까지 보도에서 드러난 공적 사적인 행적은 시정잡배의 그것에도 못 미치는 파렴치한 범죄의 수준이며, 도저히 공익 공공성을 생명으로 하는 공영방송의 수장의 짓이라기엔 믿기지 않을 정도다. 나아가 무능 부도덕한 사장에 항거하는 파업사태가 석 달 열흘이 넘고, 파행방송을 지속해온 MBC의 위상은 나날이 추락하고 있다. 국민을 걱정하고 권력의 부정부패를 감시·견제해야 할 방송이, 거꾸로 방송사 사장의 부정부패로 인해 국민의 지탄을 받고, 국민의 걱정을 사는 역설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

 

우리 방송통신위원회의 두 상임위원은, 그 동안 김재철 사장의 자질부족 자격결여에 대해 수없이 지적해 왔다. 파업사태의 장기화에 대해서도, 방송통신위원회 차원에서 사장에 대한 인사권을 행사하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김재우 이사장을 소환하여, 심도 있게 따지고 질책하며, '김재철 경질'을 촉구해야 한다고, 줄기차게 제기해 왔다. 그러나 정부여당 추천위원 3인은 '노사문제 개입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납득하기 어려운 논리로, 다수의 위력을 앞세워 우리 두 사람의 의견을 묵살해 왔다.

 

그러나 이제 위원회 내부의 발언만으로 세월을 허송하기에 현실은 급박하다. 김재우 방문진 이사장도 위원회의 소환을 거부하는 등,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는 최악의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김재철 사장의 치졸한 자리버티기와 사장 임명권을 지닌 세력의 ‘비호’에 가까운 처사에, 반세기 역사의 공영방송 MBC가 송두리째 붕괴해 가고 있다. 무능 타락한 김재철 사장의 노조견제용 기자 PD 임시채용과 이간책으로, MBC라는 조직공동체가 허물어져 가는 것을 방관만 할 수는 없는 지경이다. 문화방송이라는 소중하게 쌓아올린 국민의 방송자산은, 무능 부도덕한 사장 한 사람으로 인해 회복할 수 없는 상처를 입고 말았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다시는 과거의 위상을 되찾지 못하고 말 것이다. 방송행정을 책임지는 기관의 상임위원 입장에서 양심과 양식을 저버릴 수 없어, 비상한 방법으로라도 타개해야 한다는 결심에 이른 것이다.

 

김재철 사장에 대한 의혹은 어디가 시작이고 끝인지를 모를 지경이다. 노조에 의해 제기된 20억원에 이르는 법인카드 유용및 배임의혹, 여성무용가 정모씨에 대한 특혜지원 논란은 검찰의 수사를 기다리고 있다. 이어, "무용가 정씨와 오송 신도시에 아파트 3채를 공동으로 구입해 함께 전세를 내주었다"는 의혹까지 보도되었다. 같은 아파트단지의 601 602동 아파트를 구입하기 위해, 두 사람이 함께 다녔다는 것이며, 나중에는 정씨가 공동관리 하는 방식으로 전세를 내주었다는 보도이다.

 

양인의 관계가 경제적인 문제를 공유할 정도로 ‘특별한 관계’임을 증빙하는 것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게다가 김사장이 실소유자가 아니라면, 정씨를 위해 다주택자 중과세를 피하게 할 목적으로 이름을 빌려준 것이 되어 '부동산실명제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지적이다. 김 사장은 사실무근이라는 반론을 펴고 있고, 수사를 통해서 흑백이 가려지겠지만, 사태가 여기에 이른 것만으로도 MBC사장으로서 역할을 다하기에 도덕적 윤리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서둘러 사퇴하는 것만이, 자신과 MBC를 살리는 길이다. 더불어 경찰과 검찰은 조속히 이 사건을 조사해 줄 것을 촉구한다. 끝.

 

2012. 05. 24.

방송통신위원회 김충식, 양문석 상임위원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