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5일 판교 테크노밸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열어 5대 성장동력을 심의·확정했다.
정 총리는 "정보통신 첨단 기술을 새로운 산업에 적용하고 기존 산업과 융합해 혁신을 도모하는 한편 국민 행복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정보통신기술이 앞장서야 한다"며 "안건들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5대 전략은 ▲ 스마트미디어 산업 육성 ▲ 양자정보통신 중장기 추진 ▲ 데이터 산업 발전 ▲ 정보통신기술(ICT) 법·제도 개선 ▲ '초연결' 창조사회 비전 등이다.
우선 정부는 세계 최고의 스마트미디어 강국이 되고자 글로벌 미디어 벤처 육성과 기반기술 연구개발(R&D) 등 5개 전략과 16개 과제를 제시하면서 내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총 4천515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미디어 벤처 육성과 기반기술 연구개발에만 3천억원 가까이 투입된다.
중소 벤처와 1인 창작자 콘텐츠 제작지원을 통해 글로벌 미디어벤처를 발굴하는 한편 급부상하는 스마트 광고와 디지털사이니지 등 산업·기술 융합서비스가 성장할 길을 넓혀주기로 했다.
정부는 이 같은 정책 효과로 스마트 미디어 시장 규모가 올해 2조7천억원에서 2020년 5배 가량인 13조6천억원으로 확대되고, 간접고용 유발을 포함한 일자리도 같은 기간 2만6천개에서 13만4천개로, 10만8천개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에너지의 최소 단위인 양자(quantum)적 특성을 활용한 '양자 정보통신기술'에도 2020년까지 1천119억원을 투자해 통신 글로벌 선도국가로 입지를 다지기로 했다.
신기술로 주목받는 '양자암호통신'을 산업화하기 위해 시험통신망 구축, 검증·인증체계 마련, 검증 뒤 공공 및 민간기관 확대라는 단계적 목표를 내놨다.
정부는 정보기술 발달로 인간과 사물이 거미줄처럼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를 상상력과 창의력이 핵심이 되는 인간 중심 사회로 만들어가기로 했다.
이같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 상상력이 꽃피는 디지털 토양 마련 ▲ 미래 성장기반 확충 ▲ 소프트 창의 역량 강화 ▲ 초연결 기술 고도화 ▲ 글로벌 리더십 확보 등 5대 성장 전략 및 10대 의제를 제시했다.
미래부, 미래준비위원회 출범 (0) | 2014.12.08 |
---|---|
미래부, '사물인터넷 추진단' 발대 (0) | 2014.12.08 |
미래부, 양자정보통신 2020년까지 상용화 (0) | 2014.12.05 |
미래부, 초연결 창조한국 비전 선포식 5일 판교에서 (0) | 2014.12.03 |
미래부, '단통법' 비판에 반박자료 발표 (0) | 2014.11.17 |